지난 시간까지 한것을 정리하자면 fast.com을 freenom이나 route53에 유.무료 로 도메인을 등록을 시킨 상태이다.
그다음 해야할 작업은 그 route53을 로드 밸런스에 물리는 작업을하면 이제 도메인으로 들어오면 각각 기능에 맞는 EC2서버에 뿌리게 된다.
그래서 오늘은 로드밸런서에 route53을 물려보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서버에 들어가려면 ~~~~~~.amazone.com/8000 꼭 8000번 포트로 들어간다고 해줘야 서버에 들어갈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 전공자가 아닌 다른 사람은 포트번호가 뭔지도 모른다. 그래서 포트 번호를 안적어도 들어가는 작업을 해줘야한다.
사용자가 ~~~~~~.amazone.com 으로 들어오면 로드 밸런스 까지는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로드 밸런스에서 서버로 보낼때에는 8000번 포트라고 명시를 해준다음에 서버로 보내는 과정을 거치면 사용자들은 포트번호가 뭔지 알지도 궁금해 않아도 된다.
AWS route53에서 도메인을 사면 아무 설정을 안해도 NS와 OSA설정을 스스로 해준다.
NS(이름 서버) 레코드
Amazon Route 53는 호스팅 영역과 이름이 동일한 NS(이름 서버) 레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호스팅 영역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이름 서버 네 개를 나열합니다.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이 레코드에서 이름 서버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SOA(권한 시작) 레코드
SOA(권한 시작) 레코드는 도메인에 대한 기본 DNS 정보를 식별합니다.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은 호스팅 영역에서 도메인을 입력해주고
그다음 레코드 생성을 누른다음 NS와 CNAME(OSA)를 각각 설정을 해줍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AWS인프라구축과DevOps운영초격차패키지Online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7일차[cloudfront 설정하기] (0) | 2021.11.27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6일차[cloudfront,CDN의 원리] (0) | 2021.11.26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4일차[AWS Route53과 DNS알아보기] (0) | 2021.11.24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3일차[ALB rule] (0) | 2021.11.23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2일차[ALB를 활용한 배포해보기]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