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2일차[ALB를 활용한 배포해보기]

뇌장하드 2021. 11. 22. 14:35

 

지난시간에 이론적인 부분을 배웠다면 이제 실습을 해볼차례입니다.

실습에 앞서 요금이 나왔던 계정이 있었는데 이것저것 삭제를 하다보니 뭔가 디폴트 설정을 건들인거 같아서 복구를 해보고자 aws에 문의도 해봤는데 확실한 답변을 받기가 어려운거 같아서 그냥 아이디를 새로 하나 파서 실습을 진행을 하였습니다. 뭔가 잘못된 부분이 있는데 해결하기가 힘드네요....

 

로드 밸런스를 하기전에 대상그룹이라는것을 만들어야 합니다.

EC2->대상그룹을 눌러줍니다.

그룹화를 지어주는 것은 마이크로 서비스를 하였을때 뿌릴때 대상으로 뿌리기 위함이라고 이해를 했습니다.

지금 만든 서비스와는 별로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포트의 숫자도 지정해주고 헬스체크도 해줍니다.

헬스체크란 서버가 죽었는지를 확인을 해주는 것입니다. 

응답을 보내서 신호가 오면 이 이친구는 살았구나 혹은 죽었구나를 판별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그다음 만든 대상그룹과 로드밸런스를 연결을 시켜줍니다.

출처: https://medium.com/harrythegreat/aws-%EB%A1%9C%EB%93%9C%EB%B0%B8%EB%9F%B0%EC%8B%B1-%EC%95%8C%EC%95%84%EB%B3%B4%EA%B8%B0-9fd0955f859e

리스너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이해를 해보았습니다. 

aws에서는 리스너는 연결 요청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리스너는 프로토콜 및 포트로 구성되며 로드밸런서의 앞단과 뒷단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라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AWS인프라구축과DevOps운영초격차패키지Online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