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간에는 ALB rule에 대해서 강의를 들었습니다.
ALB rule
ALB rule은 딜리버리서비스에대한 요청을 받으면 딜리버리 서버에 연결을 시켜주고 오더에 대한 요청이 오면 오더에 대한 서버로 각각 분리 시켜서 요청에 따라서 다른 서버에 연결을 시켜주는 규칙입니다.

좀더 전문적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사용자의 요청을 받은 리스너가 헤더에 담긴 HTTP 관련 정보를 해석을 하고 난후에 그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대상그룹(TG)에 전달할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요소입니다.
stickt session


출처: https://kchanguk.tistory.com/146
만약에 로드밸런스를 통해서 로그인을 하면 A라는 서버에 저장이 된다 하지만 새로고침을 하면 로드밸런서를 통해 이번에는 A가 아닌 C로 들어가게 된다면 로그인정보가 없기때문에 실패한걸로 간주가되어서 새로 로그인을 해야한다.
이런과정을 새로 고침할때마다 해야하니 너무 짜증나는 일이 일어나게된다.
그래서 나온것이 stickt session
Sticky Session이란 특정 세션의 요청을 처음 처리한 서버로만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드밸런서에 세션을 저장을 한후에 다시 요청이 들어오면 그전에 정보를 토대로 C서버가 아님A서버로 연결을 시켜준다.
Sticky Session의 단점
- 로드 밸런싱이 의도한대로 잘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특정 서버만 과부하가 올 수 있습니다.
- 특정 서버 Fail시 해당 서버에 붙어있는 세션들이 모두 소실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이론적인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AWS에서 이런 서비스를 클릭클릭으로 제공해준다고 합니다. 역시 돈이 짱이네여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AWS인프라구축과DevOps운영초격차패키지Online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5일차[Route53 도메인등록] (0) | 2021.11.25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4일차[AWS Route53과 DNS알아보기] (0) | 2021.11.24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2일차[ALB를 활용한 배포해보기] (0) | 2021.11.22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1일차 [로드밸런서 L4,L7의 개념] (0) | 2021.11.21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O일차[EC2에 Django업로드 하기] (0) | 2021.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