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배울 내용은 로드밸런싱에 대한 부분이다.
로드밸런싱이란?
로드밸런서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통칭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풀(Server Pool,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서버들의 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한 대의 서버로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 관리해 각각의 서버가 최적의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도록 합니다.

쉽게말해서 내가 서비스를 만들었는데 처음에는 100명정도를 생각하다가 이게 히트를 치면서 만명이 들어오는 서비스가 되었다면 그럼 당장 생각나는건 서버의 성능을 올리는 것이다. 하지만 이경우는 비용적인 금액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를 하기때문에 서버를 여러개를 두고 로드밸런싱이라는 교통정리자가 1번 사용자는 1번 서버로가 2번은 3번 서버로가 이런식으로 여러개의 서버에 막힘없이 교통정리의 개념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aws에서 ELB라는 이름으로 제공하고 있다.
로드밸런서의 종류: L4, L7
L4로드밸런서는 아이피와 포트만 보고서 방향을 정리해주는 방법이다.
장점은 비용이 싸고 시간이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오로지 아이피와 포트번호만 보고 하니깐 마이크로 서비스에는 부적합합니다 예를 들면 오더라는 서비스는 오더 서버에 전송을 하고 싶지만 이거는 데이터가 없으니 그냥 무작위로 서버에 보내는 경우이니 마이크로서비스에는 좋지않습니다.
이런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L7로드밸런서가 있습니다.
L7로드밸런서는 데이터를 보고 서버에 보내는 역활을 해줍니다.
단점은 비용이 비싸고 데이터를 뜯어보고 해야하니 시간도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AWS인프라구축과DevOps운영초격차패키지Online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3일차[ALB rule] (0) | 2021.11.23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2일차[ALB를 활용한 배포해보기] (0) | 2021.11.22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O일차[EC2에 Django업로드 하기] (0) | 2021.11.20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9일차 [AWS RDS생성후 연결하기] (0) | 2021.11.19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8일차[주문배달 서비스완성]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