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14

spring boot 어노테이션 정리

@SpringBootApplication 해당 클래스가 스프링 부트를 성정하는 클래스를 뜻한다. @Autowired 의존성 주입을 위한 어노테이션 자동으로 다른 오브젝트를 찾아서 연결 시켜준다. @Component 이 클래스가 자바 빈으로 등록 시키라는 역활을 해준다. @Bean 스프링에게 이 오브젝트를 정확히 어떻게 생성해야하고 매개변수는 어떤게 들어가야하는지를 알려준다. @Builder 빌더 클래스를 따로 생성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생성해준다.

Spring Boot 2022.01.02

Filter, Interceptor, AOP의 차이

Filter는 보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터셉터는 퍼블리셔가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리스너가 듣고 핸들러에게 연락을취해서 핸들러가 작동이 된다. 그리고 설정을 config에서 리스너의 설정을 올려준다. AOP는 공통적으로 하고 싶은 작업을 위해서 사용한다. AOP를 이해할려면 프록시패턴을 이해 해야한다. 프록시 패턴이란 대리적으로 흐름만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비서와 같이 CEO에게 알려만 주지 실제로 처리는 하지 않는다.

Spring Boot 2021.12.21

스터디 올래 코드 분석해보기

회원 가입 https://shaded-parakeet-7d2.notion.site/bf59c166548145a8a5e23aaf529f40e2 회원가입 로그인까지의 순서도 APP→ index.html→ shaded-parakeet-7d2.notion.site 로그인 이후 https://shaded-parakeet-7d2.notion.site/97344c16050d440382a63dbb208ff779 로그인 이후 password 변경 shaded-parakeet-7d2.notion.site 로그인 하는 과정 https://www.notion.so/e7753d1c6f124cd1b311b3b69eb91ae0 로그인시에 과정 /login post시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Manag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