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ter는 보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터셉터는 퍼블리셔가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리스너가 듣고 핸들러에게 연락을취해서 핸들러가 작동이 된다. 그리고 설정을 config에서 리스너의 설정을 올려준다.
AOP는 공통적으로 하고 싶은 작업을 위해서 사용한다. AOP를 이해할려면 프록시패턴을 이해 해야한다.
프록시 패턴이란 대리적으로 흐름만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비서와 같이 CEO에게 알려만 주지 실제로 처리는 하지 않는다.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러]H2에서 User 테이블 생성시 에러 해결법 (1) | 2022.08.06 |
---|---|
[spring] Spring Mail AuthenticationFailedException 해결 (0) | 2022.05.08 |
[spring] 위도 경도를 받아서 Point형으로 db에 저장하기(Mysql 위치데이터) (0) | 2022.03.20 |
spring boot 어노테이션 정리 (0) | 2022.01.02 |
스프링 기초 적어보기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