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차에서는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WSL(Window Subsytem for Linux)를 이용한다.
먼저 파워쉘에서 다음 코드를 쳐줍니다.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
norestart
>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그다음 잘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 다음 코드를 쳐줍니다.
wsl
확인까지 했으면 이제 msstore에 가서 우분투를 설치 해줍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Ubuntu 20..4 LTS를 사용합니다.
설치가 잘 되었다면 다시 파워쉘에서 확인을 해줍니다.
그다음은 커널버전을 2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해주겠습니다.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위에 주소가서 파일 을 설치해주고 다음 명령어를 쳐줍니다.
> wsl --set-version Ubuntu-20.04 2
버전이 2로 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중간에 wsl활성화 명령어가 완료가 되었지만 설치 확인 명령이 듣지 않아서 또 동공 지진이 왔다 다른사람은 다 잘되고 내컴만 후져보일떄가 또 왔다 확 버려버리고 싶지만 참았다. 이것마져 없으면 나는 카페에 컴퓨터 본체를 들고 다녀야 하니 내 노트북을 소중히 여겨야했다.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7019e
이런 에러코드가 나서 구글링을 해봐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명령어로 안될떄 직접 해주는 방법을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그다음 linux하위어쩌구 옆에 체크박스를 해제하고 재부팅 또 다시 체크박스를 눌러서 wsl모드를 활성화 시켰다.
이렇게 하니 잘되었다.
이거까지 하는데 한 시간이 걸린거 같았다.
근데 재밌다 이런 오류를 겪는 것이 절망적이지만 희망있어서 다행이다.
아직 글쓰는 재주가 많이 없는거 같은걸 스스로 느낀다 다른 블로그 보면 가독성도 좋아 보이고 그런데
아직까지는 투박하다 앞으로 글 작성에 대한 팁들도 많이 찾아서 나날히 발전하는 모습으로 글을 작성해봐야겠다.
요약
wsl은 윈도우에서 리눅스환경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AWS인프라구축과DevOps운영초격차패키지Online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6일차 [네트워킹의 기본 , 동작원리] (0) | 2021.11.06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5일차 [클라우드컴퓨팅,AWS 서비스] (0) | 2021.11.05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일차[AWS CLI] (0) | 2021.11.04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일차 [AWS요금제 알아보기] (0) | 2021.11.03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일차[DevOps의 기본개념]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