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떄는 01/17일 12시쯤 개발은 뭔가 하기 싫고 열심히 딴짓을 하던중에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카카오 로그인을 지원하는 웹을 만들고 있었습니다. 01/12일도 역시나 백엔드 개발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api요청 건수가 4만6천번이라는 믿기 힘든 숫자가 나왔고 처음에는 팀원들에게 공유를 하면서 뭔가 카카오 서버에서 오류일거라고 다들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진짜 에러 일까 궁금하기도 해서 카카오 개발자내에 데브커뮤니티에서
카카오측 답변가들에게 질문을 해보았습니다.

돌아온 답변은 정상
서비스단에서 구현을 한
public void isValidToken(String accessToken) {
validateTokenExists(accessToken);
String vaildCheckHost = "https://kapi.kakao.com/v1/user/access_token_info";
HttpHeaders httpHeaders = new HttpHeaders();
httpHeaders.add("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charset=utf-8");
httpHeaders.add("Authorization", accessToken);
HttpEntity<MultiValueMap<String, String>> kakaoValidTokenReq = new HttpEntity<>(httpHeaders);
RestTemplate restTemplate = new RestTemplate();
try {
ResponseEntity<HashMap> isValidEntity = restTemplate.exchange(vaildCheckHost, HttpMethod.GET, kakaoValidTokenReq, HashMap.class);
} catch (HttpClientErrorException e) {
if (e.getStatusCode().value() == 401 || e.getStatusCode().value()==400)
throw new UnAuthorizedTokenException();
else
throw new IntenalServerErrorException();
}
}
isValidToken메소드가 범인인걸로 확인되었습니다. 토큰이 유효한지 검증을 해주는 메서드이다보니
여러군데에 사용을 하면서 테스트를 할때마다 요청을 겁나게 보냈던 것입니다.
카카오 개발자의 말대로 유효한 토큰을 어떻게 좀더 가볍게 해줄것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고민의 고민을 해보면서 해결을 해나아가야 할거 같습니다.
이상 오늘도 프로젝트 하기 싫어서 딴짓중이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Spring Boot > A-ger프로젝트 탄생의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ultipartFile을 Bufferimage로 받아서 S3에 업로드하기 (0) | 2022.03.03 |
---|---|
상품 조회 중에 만난 N+1문제 (0) | 2022.01.18 |
Spring boot 에서 AWS S3 버킷 업로드 파일 확장자 구분해서 업로드 해주기 (0) | 2022.01.17 |
spring-boot 프론트엔드와 무한 스크롤 구현 하기[ep.2] (0) | 2022.01.17 |
spring-boot 프론트엔드와 무한 스크롤 구현 하기[ep.1]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