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Django에 대해서 공식 문서를 보면서 실습해보는 시간이다.
총 3번의 기초 강의가 있지만 이걸 다듣는다고해서는 고급적인 백엔드 스킬을 습득하는것이 아닌 아주 최소한의 기술을 배우는 시간 이다.
먼저 장고 개발환경이란
장고 개발 환경이란, 장고를 로컬 컴퓨터에 설치하여 장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합니다. 로컬 컴퓨터는 자신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사용하는 컴퓨터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을 실제 배포하기 전에 로컬 컴퓨터 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먼저 파이썬을 깔았다고 하고 django를 설치해준다.
pip install django

그다음 프로젝트를 만들어 줄것이다.
프로젝트란 내가 만든 웹서비스를 말하는 것이다.
django-admin startproject mysite
명렁어를 치면 웹서버를 가동하는 최소한의 앱들이 설치가된다

manage.py는 프로젝트와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작용 하는 커맨드라인의 유틸리티 입니다. 가장 중요하다.
설치가 되었으면 이제 웹서버를 가동시켜보겠습니다.
$ python manage.py runserver
그러면 요로코롬 페이지가 나오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다음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고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것은 코드를 치면 알아서 처리를 해줍니다.
from django.db import models
class Question(models.Model):
question_text = models.CharField(max_length=200)
pub_date = models.DateTimeField('date published')
class Choice(models.Model):
question = models.ForeignKey(Question, on_delete=models.CASCADE)
choice_text = models.CharField(max_length=200)
votes = models.IntegerField(default=0)
이런식으로 코드로 각가의 설정을 해주고 나면 알아서 그에 해당하는 모델들을 만들어줍니다.
makemigrations
이 명령어를 실행시킴으로서, 모델을 변경시킨 사실과(이 경우에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이 변경사항을 migration으로 저장시키고 싶다는 것을 Django에게 알려줍니다.
오늘은 간단한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였습니다.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한번에끝내는AWS인프라구축과DevOps운영초격차패키지Online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5일차[(배달서비스)Shop 모델 만들기] (0) | 2021.11.15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4일차[Django 기초] (0) | 2021.11.14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2일차[소규모 아키텍트 설계] (0) | 2021.11.12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1일차[VPC EndPoint실습] (0) | 2021.11.11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O일차[VPC Bastion,NAT 게이트웨이 실습]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