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프로젝트를 하면서 로그 관리 부분을 공부하면서 elasticsearch 등등 을 검색을 통해서 이런게 있구나 하고 알아가고 있었다.
스프링에서 로그가 발행하면 logstash가 로그를 가공을 하여서 쪼르륵 elasticsearch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수집된 정보를 kibana를 통해서 시각화, 모니터링을 해준다고 한다 이래서 이를 쉽게 설치를 위해서 개발자들이 docker-el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 종합 세트를 만들었다. 참 개발자들은 게으르다.
여기서 프로젝트를 혼자만 하는게 아니라 여럿이서 협업을 하다보니 혼자 로컬에 도커로 하는 것보단 AWS OpenSearch를 통해서 서버구축을 하면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기능을 추가할수 있어서 서버를 만들기로 했다.
OpenSearchService 만들기 시작
먼저 AWS에서 가이드를 아주 친절히 해주었다.
https://docs.aws.amazon.com/opensearch-service/latest/developerguide/gsgcreate-domain.html
이제 가이드를 보면서 진행을 하겠습니다.
먼저 도메인 생성을 눌러줍니다.
도메인이름을 잘지어주고
사용자 지정 엔드포인트를 비활성화
배포유형 개발및 테스트를 눌러줍니다.
다음은 버전을 눌러줍니다.
제가 찾아보기로는 AWS와 elastic 사이에 갈등이 엄청나서 7.1버전 이후는 aw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을 하는것 같습니다.
aws가 오픈소스로 상용화를 하니깐 elastic입장에서는 짜증나서 소송걸고 난리가 난거 같습니다.
저는 안정성을 위해서 인터넷에자료도 많고 그래서 7.1버전을 선택을 해줬습니다.
데이터 노드쪽에서는 인스턴스를 프리티어에 맞게 t3.small로 골라주고 노드수도 1로 낮출수 있는거는 다 낮게 잡았습니다.
테스트를 위한 것이니 네트워크 부분에서 퍼블릭 엑세스를 체크해주었습니다.
엑세스 제어에서는 마스터 사용자를 설정해주었습니다.
액소스 정책부분은 도메인 수준 엑서스 정책 구성을 선택하였고
정책 은 나중에도 바꿀수 있으니 편안하게 넘어갔습니다.
설정을 다마치고 생성을 누르면 이렇게 10분 정도 기달리면 엘라스틱 서버가 가동이 됩니다.
옆에 짤린부분은 elasticsearch url 과 kibana url이 적혀 있습니다.
들어가 보면 아까 적어두었던 마스터 닉네임과 비밀 번호를 적어주시면 접속을 할수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해보고 다음 에는 ec2에다가 logstah를 구성하는것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proxy manager 설치, letsencrypt ssl 발급 받기 (1) | 2022.12.01 |
---|---|
AWS EC2에 ElasticSearch & Kibana 설치 하기 (0) | 2022.02.21 |
AWS EC2 에 Logstash 7.15.2 설치 하고 elasticsearch연동 하기 [Amazon Linux 2 AMI (HVM) - Kernel 5.10] (0) | 2022.02.10 |